한국거버넌스학회

새로운 시대의 거버넌스를 지향하며...한국거버넌스학회
한국거버넌스학회보: Print ISSN 1738-1274 / Online ISSN 2713-6701
간행물명 한국거버넌스학회 학회보
발행년도 2022년 (29권 2호) 수록페이지 203~224페이지
국문제목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활용한 세대집단별 가족가치관 유형화 연구
저자 김유나・박애리
초록 우리 사회는 오랜 시간에 걸쳐 전통적 가족에 대한 가치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현상을 인식하고 있고, 이 러한 현상이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논의를 활발하게 이어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이 세대 집단별로 어떠한 양상으로 일어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 는 여성가족부의 「2020년 가족실태조사」 데이터를 활용하여 결혼관, 가족의례 및 문화, 성역할 인식 및 부 모 부양과 자녀양육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20대부터 70대 이상까지 세대별 가족가치가 유형화 되는지 살펴보았다. Mplus를 이용하여 잠재프로파일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한 결과, 20대 와 30대가 다른 세대에 비해 비전통적인 성향이 강한 유형화를 보였다. 결혼관과 가족의례 및 문화에 있어 개방적이고 자유로우며, 성평등적이고, 부모부양과 자녀관에 있어 의무와 당위성이 약화된 개인주의적 성 향으로 나타났다. 다만, 성평등에 있어서는 20대가 30대보다 좀 더 강한 성평등적 속성을 보였다. 40대와 50대에서는 가족가치관에 있어 전통적인 성향과 비전통적인 성향이 동시에 나타났으며, 50대가 전통적인 성향이 좀 더 강했다. 결혼관과 가족의례 및 문화에 있어 40대 대다수는 자유주의적 성향으로 나타난 반면, 50대는 대다수가 전통적인 성향으로 나타났다. 부양관과 자녀관에 있어서도 비슷한 패턴을 보였다. 다만, 성역할에 있어서는 40대와 50대 모두에서 성평등적인 유형화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60대와 70대에서는 전반적으로 전통적인 유형화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특히, 결혼관과 가족의례 및 문화에서 전통 적인 가치를 강하게 유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부양관과 자녀관에 있어서는 여전히 대다수가 전통적인 성향으로 유형화 되었지만, 소수가 개인주의적 성향으로 유형화 되었다. 그러나, 성역할에 있어서는 60대 의 상당수가 성평등한 유형화에 속했고, 70대에서도 성평등한 유형화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세대별 가족에 대한 가치관을 반영한 가족정책 개발에 관한 정책적 함의를 논하였다.
주요키워드 가족가치관, 세대별 유형화, 가족실태조사, 잠재프로파일분석
다운로드
 
 

번호 년도 권호 제목 저자
739 2025 32권2호 SDGs 이행을 위한 메타 거버넌스 운영자로서의 중간지원조직 역할에 관한 사례 연구: 수원지속가능발전협의회를 사례로 고경호
738 2025 32권2호 기초자치단체 직제 순위조정의 기준 정립을 위한 실증 연구: AHP 분석을 활용한 평가항목의 우선순위 도출 유상미
737 2025 32권2호 역할 분석을 통한 탐정 업무의 법제화 방향 논의: 저작권 전문탐정 사례 김미옥, 박석희
736 2025 32권2호 농촌진흥기관 역할이 지방농업행정 성과에 미치는 영향: 농정 거버넌스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유수동, 이재용
735 2025 32권2호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ize of Budget Slacks in Local Governments: Focused on the Use of Budget Execution Rate in Local Fiscal Analysis Junki Lee, Taeseop Yoon
734 2025 32권2호 공무원의 AI 위험인식이 AI 정부 성과 인식에 미치는 영향: AI 협업역량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남상지
733 2025 32권2호 종교 기반의 지역 시민사회단체에 관한 연구: 순천 YMCA 사례를 중심으로 길종백
732 2025 32권2호 Determinants of the Quality of Life Among Nepalese Migrant Workers in Korea Meghanath Poudel, Lee, Kwang Won, Kang, Hye Jung
731 2025 32권2호 유럽연합의 수축 스마트(Shrink Smart) 연구에 대한 비교 연구: 수축 도시의 도시수축현상을 중심으로 서준교
730 2025 32권2호 지방의회 의원발의 조례안 법제화 소요기간 영향요인 분석: 제5대~제8대 대구ž광주ž대전시의회를 중심으로 김양언, 김대욱
729 2025 32권2호 뉴미디어 정책 참여가 목포・신안 행정 통합 정책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경로: 정책홍보와 공동체 의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정진영, 김병록
728 2025 32권2호 사회영역별 행위자에 대한 시민 신뢰가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제도적 수용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예나
727 2025 32권2호 정책변동의 동인과 유형에 관한 연구 장현주
726 2025 32권1호 지방 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중앙-지방 간 협력: 인식 차이 분석을 통한 거버넌스 가능성 탐색 전영환, 박미영
725 2025 32권1호 근거이론을 통한 에너지자립마을 지역 주민들의 경험 해석: 경기도 에너지자립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정연경, 이경미
724 2025 32권1호 다문화 직접 접촉 경험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과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접촉이론을 중심으로 김정서, 문국경
723 2025 32권1호 다층분석을 통한 중국 노인 삶의 질 영향요인에 대한 탐색: 산동성(山東省) 지방정부를 중심으로 짱샨샨, 권오상
722 2025 32권1호 재량, 인지된 조직지원, 변혁적 리더십이 변화주도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공봉사동기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송충근
721 2024 31권1호 여성친화도시 정책과 성평등 지수의 관계에 관한 연구: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 나현정・심미승
720 2024 31권1호 개인의 역량 결핍과 정책 인지의 관계에 관한 연구: 코로나-19 지원금 인지를 중심으로 박신애・최태현
1 2 3 4 5 6 7 8 9 1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