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버넌스학회

새로운 시대의 거버넌스를 지향하며...한국거버넌스학회
한국거버넌스학회보: Print ISSN 1738-1274 / Online ISSN 2713-6701
간행물명 한국거버넌스학회 학회보
발행년도 2001년 (8권 0호) 수록페이지 207페이지 / 총 20페이지
국문제목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 연구
저자 김성기(교수) , 오종희(교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에 대한 중요도 및 충실도의 인식을 조사하는 것이다. 지체장애인에 대한 「삶의 질」을 밝히는 것은 그들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물론 복지서비스 정책의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로써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조사는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지체장애인 15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여기에서 사용한 「삶의 질」 척도는 전부 55항목이며 9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척도의 신뢰도계수(Cronbach) α=0.94이며, 병존척도로써 사용한 충실감 척도와의 상관계수 γ=0.63 이었다.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인의 「삶의 질」은 「삶의 질」에 대한 중요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삶의 질」의 충실도도 높은 경향이 나타났다. 둘째, 9개의 「삶의 질」 하위영역 중에서 가장 중시된 것은 「가족관계」, 「인간관계」, 「건강」에 관한 요인이었으며, 가장 경시된 것은 「직업」과 「사회참가」에 관한 요인이었다. 셋째, 「삶의 질」의 영역별 중요도와 충실도의 차가 크게 나타난 것은 「경제」에 관한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가장 차가 적게 나타난 것은 「여가」에 관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삶의 질」에 대해서 가장 충실한 영역은 「가족」에 관한 요인이었다. 이는 대부분의 조사 대상자가 전통적인 대가족 생활환경에서 성장한 것이 그 한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앞으로 지체장애인복지정책을 형성하는 데 있어서 많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주요키워드 지체장애인, 삶의 질, 중요도 및 충실도
다운로드
 
 

번호 년도 권호 제목 저자
99 2004 11권1호 지역혁신체제 운영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서순복
98 2004 11권1호 지방분권화시대 지역대학발전방안 -지역대학의 역할을 중심으로- 조선일
97 2004 11권1호 저소득 모자가족의 사회적 적응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임영선 , 이원장
96 2004 11권1호 과학적 지식 활용의 공무원간 비교: 시론적 연구 오세윤
95 2004 11권1호 비정규 노동과 사회복지 정권상 , 서강훈
94 2004 11권1호 규범적 사회제도와 시장메카니즘: 도덕감정 대 합리적 이기심을 중심으로 박영주
93 2004 11권1호 건강보험정책의 급여분석 박영미
92 2004 11권1호 지방재정분석,진단제도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과제 이재원
91 2004 11권1호 한국 공적자금의 운용과 상환대책에 관한 연구 김정완 , 이은종
90 2003 10권0호 Local Government Budgeting Process and Central Government Control in Korea and England ( Moon Soo Bok )
89 2003 10권0호 제3섹타의 구성범위에 관한 미,유럽에서의 논의 비교 김종성
88 2003 10권0호 기초자치단체의 자주재원 확충을 위한 관광세 도입의 방안: 포천시를 중심으로 김정완
87 2003 10권0호 3D 업종 활성화를 위한 공공근로사업과 자원재활용의 연계방안 김한배 , 이정용
86 2003 10권0호 메타플랜 적용에 의한 학교토론수업 및 의사결정 방안 이정용 , 김일남
85 2003 10권0호 광주광역시 사회복지관 효율성 측정에 관한 연구 -DEA기법을 중심으로- 주익수 , 김용민
84 2003 10권0호 거버넌스로서 지방의제21의 추진체계에 관한 연구 김규환
83 2003 10권0호 보건복지정책과 보건복지예산에 관한 연구 김미
82 2003 10권0호 공무원 리더자의 효과적인 리더십 유형분석에 관한 연구 -경찰공무원을 중심으로- 김원진
81 2003 10권0호 정부혁신과 지방분권 연계방안: 전략과 향후의 과제 이제훈
80 2003 10권0호 경찰활동에서 지역주민과 경찰간 파트너쉽 활용전략 -Community Policing-Net Buiding을 중심으로- 박영주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