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버넌스학회

새로운 시대의 거버넌스를 지향하며...한국거버넌스학회
한국거버넌스학회보: Print ISSN 1738-1274 / Online ISSN 2713-6701
간행물명 한국거버넌스학회 학회보
발행년도 2016년 (23권 1호) 수록페이지 25페이지 / 총 26페이지
국문제목 해항도시(海港都市)의 해양산업 실태와 지속가능한 발전방안: 부산의 해양일자리 창출을 중심으로
영문제목 A Study on the Promotion Strategy of Marine Industries for Job Creation in Seaport City: The Case of Busan
저자 우양호 ( Yang Ho Woo ) , 김상구 ( Sang Goo Kim )
초록 이 연구는 우리나라 최대 해항도시(海港都市)인 부산을 중심으로 해양산업의 주요 현황과 실태, 해양일자리 창출의 성과를 진단해 보고, 이를 통해 미래 해양산업의 발전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21세기 ‘해양경제(Marine Economy)’의 핵심화두인 ‘해양산업(Marine Industries)’의 부흥은 곧 ‘해항도시(Seaport city)’ 발전의 필요조건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지금 해양산업은 미래 고부가가치 산업이면서 핵심적 성장동력의 하나로 각광받고 있으며, 그 중심에는 많은 인구와 자본, 바다와 항만을 가진 주요해항도시가 자리하고 있다. 특히 부산은 현재 해양경제와 해양산업이 도시경제의 주축을 담당하고 우리나라 제1의 항만, 대한민국 해양수도의 위상을 지향하는 데 비해 지역경기 침체와 일자리 창출이 가장 이슈가 되고 있는 ‘두 얼굴의 도시’이기도 하다. 그러나 해양산업의 전국적인 비중으로 보면 국내 어느 지역보다도 부산이 포함된 동남권역이 중앙정부에 의해 세계적인 해양관련 산업의 중심지로 육성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 현직 대통령과 부산시장의 최우선 공약이기도 한 ‘일자리 창출’과 관련하여, 해항도시 경제구조의 핵심이면서 직종도 다양한 해양산업의 연계가능성을 타진하였다. 해양산업의 일자리창출은 여러 산업 중에서 한 특정 분야의 효과라기보다는, 고부가가치의 상품으로 전화되는 전방위적 성격과 미래 성장동력 창출의 돌파구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해항도시 부산에서 해양산업의 지속가능한 발전과 해양일자리 창출을 위해 해양기업의 활동에 장애가 되는 규제의 개선, 해양ㆍ수산분야 유망산업의 육성, 국가와 지방의 협업을 통한 성장 장애요인의 해소, 저성장 업종의 신규 진입을 위한 성장사다리 구축, 민ㆍ관의 거버넌스를 통한 지속가능하고 경쟁력 있는 수평적 해양산업생태계의 조성 등을 제안하였다. 또한 이러한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부산과 비슷한 처지에 놓인 다른 해항도시들의 해양산업, 지역발전 방향에 대해서도 중요한 시사점을 주었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marine industries on job creation and regional economy in Busan. The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the various projects related to marine industries development policy in Busan and answers the questio
주요키워드 해항도시(海港都市), 해양산업, 해양일자리, 해양경제, 지역경기, 성장동력, Seaport Cities, Marine Industries, Ocean Economy, Job Creation, Regional Economy, Economic Growth
다운로드
 
 

번호 년도 권호 제목 저자
636 2020 27권2호 규제개혁 이슈의 생존 주기 유형과 규제개혁 성과: 김대중 정부에서 박근혜 정부까지 박기묵・김성철
635 2020 27권2호 정부의 재난관리 효과성의 영향요인: 기술적・관리적・법제도적 요인을 중심으로 황창호
634 2020 27권2호 사회적경제 분야 여성근로자의 역할모호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인적자원개발의 매개효과 분석 김복태・이계만・박범준
633 2020 27권2호 지방정부 특별교통수단 도입의 영향요인 분석 손선화・유두호・엄영호
632 2020 27권2호 중간지원조직 활동가 직무수행역량 설정을 위한 델파이 연구 권지윤・김두순
631 2020 27권2호 감성리더십의 조절효과를 통한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 분석 우유하・박종선
630 2020 27권1호 인구분류 기준의 재구성을 위한 소고 김우석
629 2020 27권1호 정책결정과정으로서의 공론화 단계분석: ‘2018 서울시 지역균형발전 공론화 사례’ 하동현
628 2020 27권1호 외국인근로자 고용정책변동에 따른 사회통합정책대상으로의 포용 가능성 탐색: 단기순환원칙의 고용정책을 중심으로 정명주・김소윤
627 2020 27권1호 공공갈등 해소를 위한 제도화 과정 분석: 과천화훼단지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김경아・문태훈
626 2020 27권1호 특수임무유공자 정책의 정책형성과정 연구: 정책네트워크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장다흰・박용성
625 2020 27권1호 노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중·한 비교 연구 짱샨샨・권오상
624 2020 27권1호 공공기관의 채용비리 연루 억제 요인에 관한 연구: 내부통제와 투명성 강화를 중심으로 손성민
623 2020 27권1호 성과관리와 참여적 의사결정이 조직구성원의 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내부 신뢰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구주영
622 2019 26권3호 포용과 분권의 어울림: 프랑스와 네덜란드 사례의 비교 분석 김석태・이시철
621 2019 26권3호 여성정책의 유형에 따른 입법성과 차이에 관한 연구 추영민
620 2019 26권3호 지방정부 국제기구 가입의 영향요인 분석 신윤지・엄영호
619 2019 26권3호 주민자치회 활성화 영향요인의 분석 및 정책적 제언: 광주・전남 지방자치회를 중심으로 박상범・복문수
618 2019 26권3호 한국적 리더십이 공공부문의 생산적 조직에너지에 미치는 영향: 지방공무원의 대인관계요인을 중심으로 정석환
617 2019 26권2호 우리나라 국가표준 거버넌스의 혁신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수정된 네트워크 거버넌스 모델을 중심으로 이용규・천지은
1 2 3 4 5 6 7 8 9 1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