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버넌스학회

새로운 시대의 거버넌스를 지향하며...한국거버넌스학회
한국거버넌스학회보: Print ISSN 1738-1274 / Online ISSN 2713-6701
간행물명 한국거버넌스학회 학회보
발행년도 2016년 (23권 1호) 수록페이지 153페이지 / 총 23페이지
국문제목 조직계층에 따른 구성원들의 컴퓨터 매개성 의사소통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영문제목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Level on Employees` Computer-Mediated-Communication (CMC) Use
저자 김윤호 ( Yoonho Kim )
초록 본 연구는 “조직 상위층 (또는 관리층) 과 하위층 구성원들 중 누가 더 이메일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는가?” 라는 연구질문을 제기한다. 이 연구질문에 대한 깊이있는 논의를 위해, 본 연구는 “컴퓨터 매개성 의사소통”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에 관한 주요 선행연구들을 방법론적 측면에 강조점을 두고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중요한 두가지 함의를 도출하였다. 첫째, Rice, Hughes, & Love (1989), Rice & Torobin (1992), 그리고 Markus (1994a; 1994b)의 연구결과는 Daft & Lengel (1986), 그리고Daft, Lengel, & Trevino (1987)와 같은 “information richness” 이론가의 주장과 서로 상충하는 부분이 있다. 이와 같은 상충성은 두 그룹의 학자들 간에 서로 다른 방법론을 사용한 것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예컨대, 전자인Markus (1994a; 1994b)는 관찰 및 실험 (observational and experimental) 방법을 이용한 반면, 후자인 Daft, Lengel, & Trevino (1987)는 투사(projective)적 접근법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이메일 사용이 일반화됨에 따라, 연구자들의 연구초점은 관리자들이부하들보다 이메일을 더 사용하는지를 검증하는 것에서, 두 계층의 구성원들 간에 이메일을 사용하는 동기에 차이가 있는지 탐구하는 것으로 이동하였다. 결론에서는 선행연구에서 드러난 방법론적 한계점의 극복을 위한 몇가지 제안에 대해 논의한다.
영문초록 This paper addresses the research question, "Who is more likely to use email: high-level or low-level employees?" In discussing the question, this study reviews important literature on CMC, particularly focusing on methodological issues, and suggests two
주요키워드 컴퓨더 매개성 의사소통, 이메일, 조직계층, 조직구조, 매체풍부성 이론,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email, organizational level, organizational structure, media richness theory
다운로드
 
 

번호 년도 권호 제목 저자
566 2017 24권2호 ‘숙의 거버넌스’의 저해요인 연구: 한국의 사례들의 메타분석 권향원・김성민・한수정
565 2017 24권2호 영국의 자원봉사제도 변화(1998-2013)에 관한 연구: ‘협약’과 ‘큰사회’의 제도층화를 중심으로 송정안・이혜영
564 2017 24권1호 공공서비스의 정부간 거래 활성화 방안: 서울시의 우수정책 해외진출 사례를 중심으로 한인섭・곽명신・유연식
563 2017 24권1호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참여 특성과 효과 인식에 관한 연구 현다경
562 2017 24권1호 위계문화가 정보기술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종시 이전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안선민・엄석진
561 2017 24권1호 표면적 다양성과 심층적 다양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자치구 팀을 중심으로 노종호
560 2017 24권1호 고령자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항채・김동철・김정수・김대건
559 2017 24권1호 지역특성이 지방재정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지역 기초자치단체들에 대한 퍼지셋분석을 중심으로 최예나・김상헌
558 2017 24권1호 ACF를 적용한 도청이전 입지선정과정의 분석: 전남도청이전 사례를 중심으로 이동기
557 2017 24권1호 지방정부 성과관리제도의 운영에 대한 시차적 평가 강윤호
556 2017 24권1호 우리나라 예술정책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금성희・남재걸
555 2017 24권1호 우리나라 규제개혁 추진 과정에 관한 고찰: 규제개혁 거버넌스와 민관협력 성과를 중심으로 이민창
554 2017 24권1호 정부-민간 조직 간 BSC 운영 실태 비교: 구(군)청, 공공기관 및 사립대학 등 3개 기관 사례 분석 김재영
553 2016 23권3호 Reforming Recruitment and Selection of the Nepalese Civil Service Prabin Maharjan・김판석
552 2016 23권3호 우리나라 인감증명제도의 변화와 경로의존성 분석:직접증명방식에서 간접증명방식의 전환 김건위・현승현・최인수
551 2016 23권3호 주민들의 지역균형발전정책 공정성 인식의 결정요인 연구: 중앙정부 및 국회 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예나
550 2016 23권3호 재난관리정책에 대한 집행요인과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지방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유수동・전성훈
549 2016 23권3호 현대비판철학으로 본 신자유주의적 주체의 형성 이문수
548 2016 23권3호 한국 공영방송 거버넌스 개혁을 위한 시론적 접근: 공영방송의 지배구조를 중심으로 윤석년・전정환
547 2016 23권3호 Examining Local Bureaucracy’s Interaction with Democracy in Korea 이시철
1 2 3 4 5 6 7 8 9 1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