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버넌스학회

새로운 시대의 거버넌스를 지향하며...한국거버넌스학회
한국거버넌스학회보: Print ISSN 1738-1274 / Online ISSN 2713-6701
간행물명 한국거버넌스학회 학회보
발행년도 2016년 (23권 1호) 수록페이지 97페이지 / 총 29페이지
국문제목 정책수단의 연구영역과 과제: 사회과학 학술등재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영문제목 A Study on the Research Field and Issue of Policy Instrument: Focusing on Korean Social Science Journal Articles
저자 주용환 ( Yonghwan Ju )
초록 정책수단 연구는 다양한 정책수단들의 개념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고유의 인과적 속성을 규명함으로서 정책학의 실용성을 높여준다. 정책수단 연구의 실용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이론적 체계가 마련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많은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국내 정책수단 연구들이 이론적ㆍ실용적 측면에서의 발전을 위해 어떠한 지식들을 축적해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992년부터 2015년까지 연구재단 등재 사회과학 학술지 게재 논문 총 88편을 대상으로 국내 정책수단 연구의 특징들을 살펴본 결과 다음과 같은 특징을 찾아볼 수 있었다. 첫째, 정책수단 연구의 주제를 일반론 연구, 정책목표와 수단 간 관계 연구, 정책수단 선택과정 연구 그리고 정책수단 집행과정 연구 등으로 구분하여 살펴본 결과 정책수단 연구의 근본 목적이라 할 수 있는 특정 정책목표에 적합한 정책수단 탐색에 과한 연구들이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둘째, 정책수단 연구 방법론과 관련하여 대부분의 국내 정책수단 연구들은 질적 연구방법론을 취하고 있으며, 특히 사례연구 방법론을 통해 특정 정책수단의 특징을 설명하고 있다. 셋째, 정책수단을 유형별로 분류할 때 둘 이상의 유형을 다루는 연구들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특히 규제적 수단보다 유인적 수단 연구가 많았으며, 간접적 정책수단 보다는 직접적 정책수단에 관한 연구가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넷째, 정책수단 연구 경향을 살펴본 결과 국내 정책수단 연구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특정 정책수단 연구 주제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이지 않고, 다양한 연구 주제들이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기존 연구의 분석을 토대로 정책수단 연구의 이론적 체계를 견고히 위한 과제를 찾아낼 수 있었다. 정책수단의 구분하고 개념의 명확성을 높이기 위한 판단 준거에 관한 연구, 정책수단 조합의 원리와 과정에 대한 연구 그리고 복잡하고 역동적인 정책수단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과 연구방법의 필요성 등이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policy instrument research is to build causal knowledge on the choice of policy instruments and its consequences for making better decisions in addressing public problems and achieving public goals.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discuss
주요키워드 정책수단 연구, 정책수단, 정책수단 연구의 틀, policy instrument, policy instrument research, policy instrument theory
다운로드
 
 

번호 년도 권호 제목 저자
566 2017 24권2호 ‘숙의 거버넌스’의 저해요인 연구: 한국의 사례들의 메타분석 권향원・김성민・한수정
565 2017 24권2호 영국의 자원봉사제도 변화(1998-2013)에 관한 연구: ‘협약’과 ‘큰사회’의 제도층화를 중심으로 송정안・이혜영
564 2017 24권1호 공공서비스의 정부간 거래 활성화 방안: 서울시의 우수정책 해외진출 사례를 중심으로 한인섭・곽명신・유연식
563 2017 24권1호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참여 특성과 효과 인식에 관한 연구 현다경
562 2017 24권1호 위계문화가 정보기술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종시 이전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안선민・엄석진
561 2017 24권1호 표면적 다양성과 심층적 다양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자치구 팀을 중심으로 노종호
560 2017 24권1호 고령자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항채・김동철・김정수・김대건
559 2017 24권1호 지역특성이 지방재정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지역 기초자치단체들에 대한 퍼지셋분석을 중심으로 최예나・김상헌
558 2017 24권1호 ACF를 적용한 도청이전 입지선정과정의 분석: 전남도청이전 사례를 중심으로 이동기
557 2017 24권1호 지방정부 성과관리제도의 운영에 대한 시차적 평가 강윤호
556 2017 24권1호 우리나라 예술정책의 변화과정에 관한 연구: 역사적 제도주의 관점에서 금성희・남재걸
555 2017 24권1호 우리나라 규제개혁 추진 과정에 관한 고찰: 규제개혁 거버넌스와 민관협력 성과를 중심으로 이민창
554 2017 24권1호 정부-민간 조직 간 BSC 운영 실태 비교: 구(군)청, 공공기관 및 사립대학 등 3개 기관 사례 분석 김재영
553 2016 23권3호 Reforming Recruitment and Selection of the Nepalese Civil Service Prabin Maharjan・김판석
552 2016 23권3호 우리나라 인감증명제도의 변화와 경로의존성 분석:직접증명방식에서 간접증명방식의 전환 김건위・현승현・최인수
551 2016 23권3호 주민들의 지역균형발전정책 공정성 인식의 결정요인 연구: 중앙정부 및 국회 공정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예나
550 2016 23권3호 재난관리정책에 대한 집행요인과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지방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유수동・전성훈
549 2016 23권3호 현대비판철학으로 본 신자유주의적 주체의 형성 이문수
548 2016 23권3호 한국 공영방송 거버넌스 개혁을 위한 시론적 접근: 공영방송의 지배구조를 중심으로 윤석년・전정환
547 2016 23권3호 Examining Local Bureaucracy’s Interaction with Democracy in Korea 이시철
1 2 3 4 5 6 7 8 9 1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