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버넌스학회

새로운 시대의 거버넌스를 지향하며...한국거버넌스학회
한국거버넌스학회보: Print ISSN 1738-1274 / Online ISSN 2713-6701
간행물명 한국거버넌스학회 학회보
발행년도 2019년 (26권 2호) 수록페이지 27~52페이지
국문제목 왜 사회적 기업은 자율경영공시제도에서 이탈하는가?: 사회적 기업의 성과와 외부자원 의존도를 중심으로
저자 유두호・유승주
초록
본 연구는 사회적 기업 자율경영공시제도 이탈의 영향 요인을 실증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리
나라의 특성상 정부주도로 사회적 기업 성장이 이루어졌고, 사회적 기업의 투명한 생태계 조성을 위해 정
부는 201년부터 자율경영공시제도를 도입하였다. 하지만 자율경영공시제도가 체계적으로 사회적 기업
의 성과를 관리하고 안정적인 생태계를 조성하는데 기여하자는 취지에 맞게 작동하는지에 대한 관심은 부
족하였다. 또한 경영공시제도에 참여하다가 중도에 이탈하는 기업이 상당수 존재하였다. 이에 2012년도
부터 2018년도까지 자율경영공시제도에 참여한 87개 사회적 기업을 대상으로 자율경영공시제도 이탈
의 영향 요인에 대한 패널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산규모가 작은 사회적 
기업일수록 경영공시제도를 참여하다가 중도에 이탈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경제적 성
과가 높은 사회적 기업일수록 경경공시제도를 이탈할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사회적 성과 중 이윤의 사회
적 목적 재투자가 높은 사회적 기업일수록 경영공시제도를 이탈할 가능성이 높다. 셋째, 인증기간이 5년 
초과한 사회적 기업들은 자산규모가 작을수록 경영공시제도를 이탈할 가능성이 높다. 마지막으로 인증기
간이 5년 이하인 사회적 기업과 5년이 초과한 기업은 모두 경제적 성과가 높을수록 경영공시제도를 이탈
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사회적 기업의 성과를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자
율경영공시제도 구축의 필요성이 강조되며, 경영공시제도 이탈을 통해 자산규모가 낮아 조직의 생존에 어
려움을 겪는 불안정한 사회적 기업이 존재한다는 위험신호를 간접적으로 감지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해
서는 적합한 지원 정책이 고안되어야 한다.
주요키워드 사회적 기업, 자율경영공시제도, 자원의존이론, 이탈
다운로드
 
 

번호 년도 권호 제목 저자
646 2020 27권3호 국가균형발전정책의 변화를 위한 소고 김우석・김형진
645 2020 27권3호 경로의존성의 관점에서도시 지속가능발전목표 수립 참여 과정 비교 연구: 서울시와 수원시 사례 비교 정연경・김태영
644 2020 27권3호 사회적 기업에 대한 정부재정지원, 그 양날의 검: 부스트래핑(bootstrapping) 기법의 활용 이경은
643 2020 27권3호 내용분석과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복지행정 연구동향 분석 문영주
642 2020 27권3호 소재・부품・장비 산업의 기술혁신성공에 대한 정부지원정책 및 일본과의 기술격차 조절효과 김경아
641 2020 27권3호 시민들의 인식으로 살펴본 정책행위자 요인이 공적개발원조(ODA) 정책집행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정책요인과 환경요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예나
640 2020 27권3호 지방출자・출연기관의 설립 실태와 합리화 방안 한인섭・백승천・김정렬・박지호
639 2020 27권2호 도시재생 플랫폼의 거버넌스와 골디락스(Goldlocks)의 난제: 도시재생 뉴딜사업 사례연구 서정훈
638 2020 27권2호 하이브리드 거버넌스 분석: 재활용 폐기물 수거 거부 사례를 중심으로 김필・임도빈
637 2020 27권2호 한국 지방정치에서의 지방의원과 국회의원 관계에 대한 실증 연구: 후견주의 시각 최창수
636 2020 27권2호 규제개혁 이슈의 생존 주기 유형과 규제개혁 성과: 김대중 정부에서 박근혜 정부까지 박기묵・김성철
635 2020 27권2호 정부의 재난관리 효과성의 영향요인: 기술적・관리적・법제도적 요인을 중심으로 황창호
634 2020 27권2호 사회적경제 분야 여성근로자의 역할모호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인적자원개발의 매개효과 분석 김복태・이계만・박범준
633 2020 27권2호 지방정부 특별교통수단 도입의 영향요인 분석 손선화・유두호・엄영호
632 2020 27권2호 중간지원조직 활동가 직무수행역량 설정을 위한 델파이 연구 권지윤・김두순
631 2020 27권2호 감성리더십의 조절효과를 통한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 분석 우유하・박종선
630 2020 27권1호 인구분류 기준의 재구성을 위한 소고 김우석
629 2020 27권1호 정책결정과정으로서의 공론화 단계분석: ‘2018 서울시 지역균형발전 공론화 사례’ 하동현
628 2020 27권1호 외국인근로자 고용정책변동에 따른 사회통합정책대상으로의 포용 가능성 탐색: 단기순환원칙의 고용정책을 중심으로 정명주・김소윤
627 2020 27권1호 공공갈등 해소를 위한 제도화 과정 분석: 과천화훼단지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김경아・문태훈
1 2 3 4 5 6 7 8 9 1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