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버넌스학회

새로운 시대의 거버넌스를 지향하며...한국거버넌스학회
한국거버넌스학회보: Print ISSN 1738-1274 / Online ISSN 2713-6701
간행물명 한국거버넌스학회 학회보
발행년도 2023년 (30권 2호) 수록페이지 103~126페이지
국문제목 입학사정관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특성 및 역할지각에 관한 연구
저자 장종하・박찬영
초록 본 연구는 공교육 정상화라는 교육정책 목표 달성을 위한 입시 업무를 수행하는 입학사정관의 이직의도 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으로써 인적자원의 이탈을 막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 를 위해 입학사정관의 직무특성 및 역할지각 중 어떠한 요인이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4년제 대학에 근무하는 입학사정관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직무특성 중 기능다양성, 과업정체 성, 과업중요성이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주며 역할지각 중 역할갈등과 역할모호성이 이직의도에 정 (+)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공정하고 신뢰감을 주는 입시업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입학사 정관이 업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한 기회를 제공받고 프로그램의 전 과 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입학처 구성원 간의 업무 소통을 통해 상호 업무 간 영향력의 중요성을 인지해 야 함을 의미한다. 입학사정관의 공정한 입학전형 업무운영을 위한 본 연구는 투명한 학생선발뿐 아니라 학생 중심의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시사점이 있다고 하겠다. 
주요키워드 이직의도, 입학사정관, 역할지각
다운로드
 
 

번호 년도 권호 제목 저자
719 2024 31권1호 한국 관료제와 정치적 중립성의 문제: 쟁점과 현실 이병량
718 2024 31권1호 YouTube를 활용한 정부PR이 지방정부 신뢰에 미치는 영향 정주용・노은주
717 2024 31권1호 지방자치단체 자체재원과 지방보조금 지출규모의 관계에 관한 연구: 주민참여예산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배정아
716 2023 30권3호 소극행정의 전략적 설정 게임과 제도・문화적 맥락: 공무원은 왜 적극행정을 선택하지 않는가? 최성욱
715 2023 30권3호 낙동강 기수생태계 복원 거버넌스 변동 연구 김창수
714 2023 30권3호 외국인 이주자 유입의 사회경제적 영향과 외국인 이주자 차별금지에 관한 국민인식의 관계 연구: 정부의 이주자 지원정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김이수・최예나
713 2023 30권3호 시민안전교육 거버넌스: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김필・한병훈
712 2023 30권3호 전국 226개 기초자치단체의 지역균형발전 측정 분석과 시사점: 인구 및 경제, 산업 지표를 중심으로 김선명・노진희
711 2023 30권3호 재량은 보육교사에게 “계륵(鷄肋)”인가: 계층적 책무 약화와 정치적 책무 완충 황광선
710 2023 30권3호 직무만족 관리의 상황론적 접근에 관한 연구* 김윤호
709 2023 30권3호 사회적 자본의 형성과 강화: 청주시 초록마을사업을 중심으로 하민철
708 2023 30권3호 소방공무원의 공공봉사동기(PSM) 영향요인: 광주광역시를 중심으로 송충근
707 2023 30권3호 직무스트레스와 조직몰입의 관계에 대한 공정성의 조절효과 분석: 공무원 직급별 비교를 중심으로 박소정・이수영・조소연
706 2023 30권2호 지속가능한 스마트 시티 운영을 위한 거버넌스 혁신 방안에 관한 연구 염지선・김준형・이사빈・김민영
705 2023 30권2호 정치 참여 의식과 정치적 소비: 한국의 윤리적 소비와 불매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손선화・박나라
704 2023 30권2호 인공지능(AI)의 효과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공공부문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박승규・황창호
703 2023 30권2호 민선8기 지방선거의 중앙정치화 경향 분석과 함의 설선미・배정아
702 2023 30권2호 입학사정관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특성 및 역할지각에 관한 연구 장종하・박찬영
701 2023 30권1호 이해관계자 참여 공간으로서 지속가능발전 공론장의 쟁점과 과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지속가능발전 이행계획 수립 과정을 사례로 정연경・윤희철・박차옥경
700 2023 30권1호 적극적 인사행정 관점에서의 적극행정 운영분석과 정책적 함의 조선일
1 2 3 4 5 6 7 8 9 1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