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버넌스학회

새로운 시대의 거버넌스를 지향하며...한국거버넌스학회
한국거버넌스학회보: Print ISSN 1738-1274 / Online ISSN 2713-6701
간행물명 한국거버넌스학회 학회보
발행년도 2015년 (22권 2호) 수록페이지 309페이지 / 총 28페이지
국문제목 여성 공무원의 승진 동기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평등성과 공정성을 중심으로 -
영문제목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Motivations of Female Civil Servants for Promotion : Focused on Equality vs Equity
저자 권일웅 ( Illoong Kwon ) , 한승희 ( Seung-hui Han )
초록 여성 공무원의 양적 증가에도 불구하고 상위직급 중 여성 공무원 비중은 여전히 이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승진에 있어서 여성에 대한 차별과 유리천장은 여성의 승진 동기를 저하시키고, 이러한 승진 동기의 저하는 여성이 리더십 역할에 열등하고 소극적이라는 선입관을 증대시켜 여성차별을 강화하는 악순환을 생산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남성보다 낮은 여성 공무원의 승진 동기를 높이기 위해 남녀 간 동일한 대우를 강조하는 형식적 평등성과 여성이 가진 지식·기술·능력을 활용하는 공정한 조직운영방식을 구분하고, 어떤 방식이 더 유의미한지 분석하였다. 서울대학교 한국정책지식센터의 중앙공무원 인식조사를 표본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여성공무원이 가진 지식과 기술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공정한 조직운영방식이 여성의 승진 동기를 높이는데 유의미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20대와 30대 여성 공무원에게서 이러한 경향이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다. 오히려 단순한 성별을 기준으로 한 평등대우는 오히려 남성공무원들의 승진 동기를 유의미하게 감소시키고 있다. 따라서 단순한 성별을 기준으로 한 동등한 대우를 넘어서 여성공무원의 지식과 기술을 활용하며 여성의 능력개발과 연계된 공정성을 강조한 인사정책으로 패러다임 변화가 필요하다.
영문초록 Even though the number of female civil servants has been increasing, the percentage of female civil servants in high-ranking positions is still low.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in promotion (glass ceiling) would reduce motivations of female civil servant
주요키워드 여성 공무원, 승진 동기, 평등성, 공정성, Female Civil Servant, Motivations for Promotion, Equality, Equity
다운로드
 
 

번호 년도 권호 제목 저자
706 2023 30권2호 지속가능한 스마트 시티 운영을 위한 거버넌스 혁신 방안에 관한 연구 염지선・김준형・이사빈・김민영
705 2023 30권2호 정치 참여 의식과 정치적 소비: 한국의 윤리적 소비와 불매운동 사례를 중심으로 손선화・박나라
704 2023 30권2호 인공지능(AI)의 효과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공공부문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박승규・황창호
703 2023 30권2호 민선8기 지방선거의 중앙정치화 경향 분석과 함의 설선미・배정아
702 2023 30권2호 입학사정관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특성 및 역할지각에 관한 연구 장종하・박찬영
701 2023 30권1호 이해관계자 참여 공간으로서 지속가능발전 공론장의 쟁점과 과제: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지속가능발전 이행계획 수립 과정을 사례로 정연경・윤희철・박차옥경
700 2023 30권1호 적극적 인사행정 관점에서의 적극행정 운영분석과 정책적 함의 조선일
699 2023 30권1호 수소경제 및 수소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샌드박스의 방향 연구 김영식・장동윤・권자경
698 2023 30권1호 공공갈등의 심화가 이념화 전환에 미치는 영향: 문재인 정부를 중심으로 김강민・김주경
697 2023 30권1호 지방소비세 세율 인상이 보통교부세에 미치는 영향 분석: 문재인 정부 2단계 재정분권을 중심으로 · 홍근석・임정빈・문소영
696 2023 30권1호 정책의 논거와 상징으로서의 수: 의과대학 정원확대정책의 타당성 논쟁 정병걸
695 2022 29권3호 이타성이 입법부 공무원들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학습목표지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최예나
694 2022 29권3호 공중의제(public agenda)로서 대선공약: 제20대 대선을 중심으로 설선미・김추린
693 2022 29권3호 직장어린이집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근무환경이 영유아 권리존중 보육실행에 미치는 영향 김규리・박애리
692 2022 29권3호 토픽모델링을 적용한 부산 지역 사회복지관의 비전선언문 분석 문영주
691 2022 29권3호 청년고용정책이 청년NEET 감소에 미치는 영향 전영준・김창진
690 2022 29권3호 코로나19 확진 독거노인의 삶의 변화: 존엄한 삶과 죽음에 대한 의미 탐색 박지현
689 2022 29권3호 자체평가위원의 직무몰입에 관한 연구: 동료의 직무몰입과 직무자원 및 요구를 중심으로 정솔・전미선
688 2022 29권3호 복지영역의 ESG경영을 위한 탐색적 연구: 종합사회복지관을 사례로 김희연
687 2022 29권3호 개인의 사회자본적 속성과 경제활동 성과의 관계 분석: 준・고령자의 사회 네트워크 활동이 소득과 경제적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오현석・도수관
1 2 3 4 5 6 7 8 9 1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