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행물명 | 한국거버넌스학회 학회보 | ||
|---|---|---|---|
| 발행년도 | 2014년 (21권 3호) | 수록페이지 | 317페이지 / 총 27페이지 |
| 국문제목 | 문화예술에 의한 지역만들기의 효용에 관한 사례비교연구 | ||
| 영문제목 | The Comparative Study on the Usefulness of Local Area Making by Cultural Art | ||
| 저자 | 허훈 ( Hoon Huh ) | ||
| 초록 | 지역발전을 이끌어 온 이론은 근대화론, 기초수요이론, 신자유주의이론, 지속발전이론, 창조도시이론, 문화예술접근론 등으로 다양하다. 이중 한국의 지역발전은 근대화론에 의한 접근법이 오랫동안 전개되어오다가 1990년대중반이후 지속발전이론이나 창조도시이론 등의 대안이론으로 확대되었다. 이 연구는 특히 문화예술에 의한 지역발전이 우리 지역사회에 효용이 크다고 판단하고 관련 사례들을 비교하고 그 효용과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영국의 Gateshead시나일본의 Naoshima는 이 연구에서 도출한 다양한 효용을 보여주고 있으나 우리나라의 사례로 선택한 마포구 성미산마을, 광주시북구시화문화마을, 포천시수목원마을. 양주시장흥아트밸리등의 경우에는 지역만들기의 역사. 주체. 협력관계에 따라 그 효용이 아직 저수준이거나 다양하게 나타났다. | ||
| 영문초록 | There have been many theories which led local development, for example modernization theory, basic needs theory, neo-liberalism, sustainable development theory, creative city approach etc. Among them, Cultural Art Approach has more usefulness in making Lo | ||
| 주요키워드 | 문화예술에 의한 지역만들기, 근대화론, 보몰가설, 문화예술, Local Area Making by Cultural Art. modernization theory, Baumol`s cost disease, Cultural Art | ||
| 다운로드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