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버넌스학회

새로운 시대의 거버넌스를 지향하며...한국거버넌스학회
한국거버넌스학회보: Print ISSN 1738-1274 / Online ISSN 2713-6701
간행물명 한국거버넌스학회 학회보
발행년도 2014년 (21권 3호) 수록페이지 55페이지 / 총 26페이지
국문제목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상징요소의 상대적 중요성 연구 - AHP 분석방법을 통한 전라북도 8개 군을 중심으로 -
영문제목 A Study of the Relative Importance of Cultural Symbol Elements in the Local Government - Focusing the Case of 8 Counties of Jeollabuk-Do through the Analysis Method of AHP-
저자 황선영 ( Sun Young Hwang ) , 윤은기 ( Eun Gee Yun )
초록 본 논문은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상징요소의 상대적 중요성 연구로 문화상징요소들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의 문화상징요소를 자연적 요소, 역사전통적 요소, 인물적 요소, 생활적 요소, 인공적 요소, 행사적 요소로 구분하고, AHP분석을 통해 문화상징요소의 6개의 측정지표와 25개의 측정항목들의 상대적 중요성의 우선순위들을 분석 하였다. 전라북도 8개 군(완주군,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순창군, 고창군, 부안군)의 문화상징요소 평가영역 간 가중치를 분석해 본 결과 자연적 요소가 29.7%로 가장 높은 가중치를 나타냈으며, 역사전통적 요소가 28.7%, 생활적 요소가 11.4%, 인물적 요소가 11.2%, 행사적 요소가 9.5%, 인공적 요소가 9.4%의 가중치가 조사되었다. 즉, 전라북도 군의 측정지표 사이의 상대적 중요도와 우선순위는 자연적 요소(1순위) → 역사전통적 요소(2순위)→ 생활적 요소(3순위) → 인물적 요소(4순위) → 행사적 요소(5순위) → 인공적 요소(6순위)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라북도 군의 문화상징요소들의 전체 측정항목들 간의 상대적 우선순위및 복합 가중치의 분석에서 상대적 상위의 우선순위의 측정항목들은 자연환경·경관(1순위0.136) → 지역특산물(2순위 0.103) → 유물·유적지(3순위 0.078) → 전통예술·놀이(4순위 0.063)→ 역사적인 인물(5순위 0.059)이었고 상대적 하위의 우선순위의 측정항목들은 문화예술공연(21순위 0.019) → 전문인(22순위 0.016) → 영화제(23순위 0.015) → 전시회·박람회(24순위0.014) → 정치인(24순위 0.014) 순으로 평가되었다. 이와 같이, 지역의 문화상징요소들의 상대적 우선순위인 자연적 요소와 역사전통적 요소의 상대적 중요성의 강조와 함께 지역브랜드의 발전 전략에서 차별화된 지역 브랜드의 구축이 필요하다.
영문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relative importance of cultural symbol elements in the Local Government. This study classifies cultural symbol elements into the following categories: natural factors, historical-traditional factors, character
주요키워드 AHP 분석, 문화상징요소, 지역 브랜드, AHP Analysis, Cultural Symbol Elements, Local Brand
다운로드
 
 

번호 년도 권호 제목 저자
499 2015 22권2호 지방정부역량이 지방정부와 비영리조직간 협력적 계약관계에 미치는 영향 - 거버넌스 이론을 중심으로 -
The Impact of Capacity of Local Government on the Cooperative Contract Relationship between Local Government and NPOs: focusing on the governance theory
현영란 ( Young-ran Hyun )
498 2015 22권2호 한국 전자정부의 발전과 시민참여
The Development of South Korea’s e-government and Citizen Participation
한주희 ( Ju-hi Han ) , 주창범 ( Chang-bum Ju )
497 2015 22권2호 광주광역시 기후변화 거버넌스의 변화 과정
The Process of Change in Climate Change Governance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안승혁 ( Seung-hyeok Ahn ) , 윤순진 ( Sun-jin Yun )
496 2015 22권2호 평가학회 및 국제기구의 평가 윤리강령에 대한 내용분석
Contents Analysis of Codes of Ethics of Evaluation Society and International Evaluation Organization
박홍윤 ( Hong-yun Park )
495 2015 22권2호 중소기업정책 패러다임과 거버넌스 구조에 관한 비교 연구 - 프랑스, 일본, 대만의 경험을 중심으로 -
A Comparative Study on the Paradigm and Governance Structure for Small and Medium Enterprise Policy: Focused on the Experiences of France, Japan, and Taiwan
장현주 ( Hyun-joo Chang )
494 2015 22권2호 지속가능한 복지국가를 위한 시장(市場)의 역할 제고방안 고찰
Activating Welfare Market for the Sustainable Welfare State
김순양 ( Soon-yang Kim )
493 2015 22권2호 기초연금제도의 제도 진단 연구 - 지표의 적용을 통한 전문가의견의 분석 -
A Study on the Institutional Diagnosis of the Basic Pension System - Analysis of Expert Opinion over the Application of the Indicators -
최창현 ( Chang-hyeon Choi ) , 곽미정 ( Mi-jung Kwak )
492 2015 22권2호 국가보훈 정책변동에 대한 연구 -정책변동모형을 결합한 수정된 다중흐름모형적용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Policy Change Process of the Patriot and Veterans Policy Making in Korea Using the Multiple Streams Framework and Policy Change Model
박용성 ( Young Sung Park )
491 2015 22권2호 로컬 거버넌스가 지역경제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전통시장 활성화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Local Governance on the Revitalization of Local Econom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Traditional Market
유영수 ( Young Soo Yoo ) , 최진식 ( Jin Sik Choi ) , 권용수 ( Yong Soo Kwon )
490 2015 22권2호 변혁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LMX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mpa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 School Organization: Mediating Effects of Leader-Member Exchange
민기 ( Kee Min ) , 박철민 ( Cheol Min Park )
489 2015 22권2호 국가혁신 측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2014 글로벌 혁신지수(GII) 모형검증-
An Empirical Study on Measuring National Innovation: A Test of 2014 Global Innovation Index (GII) Model
차용진 ( Yong Jin Cha )
488 2015 22권1호 공조직의 리더쉽과 조직효과성의 관계에서 조직문화의 영향 연구 -창원시 공무원의 인식을 중심으로-
The Study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fluenced by Leadership in Public Organizations: Focused on the Recognition of Public Officials in Changwon City
이태근 ( Tae Geun Lee )
487 2015 22권1호 보건의료정책 변동과정의 참여자간 관계 분석 -의료기사 독립영역권을 중심으로-
An Analysis about Relations among Participants in the Process of Healthcare Policy Change: Focused on the Independent Territory of Medical Technicians
김승래 ( Seung Rae Kim ) , 홍성운 ( Sung Woon Hong )
486 2015 22권1호 정책PR분석틀을 적용한 시간선택제 일자리 정책
Applying Policy PR Framework to the Case of Part-time Employment Policy
이창율 ( Chang Yul Lee ) , 장지호 ( Ji Ho Jang )
485 2015 22권1호 건강,안전 분야 규제개혁 방안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Regulatory Reform Policies in the Health and Safety Sector
이혜영 ( Hye Young Lee ) , 양홍석 ( Hong Seok Yang )
484 2015 22권1호 한국 음식물쓰레기 종량제의 집행과 정책적 시사점 -정책대상집단의 순응 요인 확보를 중심으로-
An Analysis of Implementing the Volume-Rate Food Waste Disposal System in Korea: Focused on Policy Target Group Compliance
박미옥 ( Mi Ok Park )
483 2015 22권1호 비선호시설 입지과정에서 엉켜버린 실타래 풀기 -순천시 자원순환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Factors of Success of NIMBY Facility
길종백 ( Jong Baik Kil ) , 조주은 ( Ju Eun Jo ) , 주인환 ( In Whan Ju )
482 2015 22권1호 창조경제를 위한 문화콘텐츠 진흥에 관한 연구 -문화 콘텐츠 산업정책 발전경로와 거버넌스 협력체계 구축을 중심으로-
A Study of Cultural Contents Promotion for the Creative Economy: Focusing on the Development Path of Cultural Contents Industrial Policy and Establishment of Governance Cooperation System
유영철 ( Young Chul You ) , 김혜정 ( Hye Jeong Kim ) , 김주경 ( Ju Kyung Kim )
481 2015 22권1호 자원봉사 분야에서 협력적 거버넌스가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연구
The Empirical Study on Factors Affecting Relation Between Collaborative Governance and Organizational Performance: Focusing Voluntary Sector
김이수 ( Lee Soo Kim )
480 2015 22권1호 국회 입법과정상 정책조정기능 개선 방안 -핀란드 사례를 중심으로-
Implications for Policy Coordination Functions in Legislative Process: Focusing on the case of Finland
이민창 ( Min Chang Lee ) , 오시영 ( Si Young Oh ) , 서정훈 ( Jeong Hoon Seo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