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버넌스학회

새로운 시대의 거버넌스를 지향하며...한국거버넌스학회
한국거버넌스학회보: Print ISSN 1738-1274 / Online ISSN 2713-6701
간행물명 한국거버넌스학회 학회보
발행년도 2015년 (22권 1호) 수록페이지 107페이지 / 총 32페이지
국문제목 창조경제를 위한 문화콘텐츠 진흥에 관한 연구 -문화 콘텐츠 산업정책 발전경로와 거버넌스 협력체계 구축을 중심으로-
영문제목 A Study of Cultural Contents Promotion for the Creative Economy: Focusing on the Development Path of Cultural Contents Industrial Policy and Establishment of Governance Cooperation System
저자 유영철 ( Young Chul You ) , 김혜정 ( Hye Jeong Kim ) , 김주경 ( Ju Kyung Kim )
초록 창조경제는 상상과 지식과 정보를 이용하여 산업전반에 접목시켜 일자리를 창출하고 부를 증대시키는 경제활동을 말하고 창조산업은 창조경제 활동과정이나 결과로 발생하는 지속적인 생산물을 생성하는 것을 말하며 문화산업은 창조산업의 핵심을 이룬다. 문화콘텐츠는 인간의 창의성(creativity)을 바탕으로 상상력.감성.예술성.가치관 등 문화적 요소와 결합하여 미디어를 통해 재화서비스로 전달됨으로써 경제적 가치뿐만 아니라 사회문화적인 의미, 정체성, 가치 등을 창출한다. 문화콘텐츠 산업은 창조경제의 가장 중심에 위치해 있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화콘텐츠 육성을 위해 세계적인 노력이 경주되어 왔다. 창조경제의 선진국인 영국에서부터 미국과독일 그리고 일본에 이르기까지 창조경제 문화콘텐츠 산업 진흥을 위한 정책들이 형성되어왔고, 정책을 이루기 위한 거버넌스 협력체가 구조화되었다. 미국은 엔터테인먼트산업에 대하여 조세정책을 위주로 여러 독립기관들을 두면서 시장경쟁제도를 조장하였다. 영국은 팔길이 정책 등 민간과 거리를 유지하는 정책을 취하면서 오프컴이라는 거버넌스 협력기구를 설치하여 정책을 조정하였다. 일본은 가장 최근 쿨재팬 정책으로 일본 문화콘텐츠의 세계적 성장을 추진하고 있으나 그 성과는 가시적이지 않았다. 독일은 전통적으로 주정부에서 세부적인 정책을 마련하고 시행하였으나 사회보험정책, 콘셉트 2000 정책, 문화-창조산업프로젝트 등은 연방정부 주도로 형성되었으며 점차 연방정부의 권한이 강화되고 있다. 해외사례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은 첫째, 정부는 문화콘텐츠 정책을 이끌 뿐 시장에 개입하지않는 원거리 정책이 요구되며, 둘째, 문화체육관광부와 미래창조과학부의 이원화된 문화콘텐츠정책권을 조정해 줄 수 있는 영국의 오프컴과 같은 조정기구의 설치가 필요하며, 셋째 우리나라의 문화정책 실현의 구조상 민간지원 정책과 진흥정책을 동시에 달성하기 위해서는 광역자치단체가 중심이 되어 협력거버넌스를 구축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영문초록 Creative economy refers to economic activity of creating jobs and boosting wealth by incorporating imagination, knowledge, and information into the overall industry. Creative industry means continuous generation of output produced in the process of or as
주요키워드 창조경제, 창조산업, 문화콘텐츠, 거버넌스, creative economy, creative industry, cultural contents, governance
다운로드
 
 

번호 년도 권호 제목 저자
526 2016 23권1호 해항도시(海港都市)의 해양산업 실태와 지속가능한 발전방안: 부산의 해양일자리 창출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Promotion Strategy of Marine Industries for Job Creation in Seaport City: The Case of Busan
우양호 ( Yang Ho Woo ) , 김상구 ( Sang Goo Kim )
525 2016 23권1호 LTV,DTI의 규제거버넌스 고찰
A Study on Regulatory Governance of LTV and DTI
문제헌 ( Je Heon Moon )
524 2015 22권3호 글로벌 환경 거버넌스 구축 현황 및 과제 -한중일 환경장관회의(TEMM)를 중심으로-
Current Situation and Future Tasks of Global Environmental Governance Building and Operation
안형기 ( Hyung Ki Ahn ) , 이진만 ( Jin Man Lee ) , 백형배 ( Hyung Bae Baek )
523 2015 22권3호 보건산업 육성과 발전 전략에 관한 담론
Discourse on the Strategy of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Health Industry
윤은기 ( Eun Gee Yun )
522 2015 22권3호 사회적문제해결형 사회적기업 가능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경기도 사회적기업 종사자들의 인식을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ossibility of Adoption and Development of Innovative Social Enterprise: Based on the Perception of Employees of Social Enterprises in Kyunggi-do
배귀희 ( Kwi Hee Bae ) , 전성태 ( Seong Tae Jeon )
521 2015 22권3호 경제자유구역 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인천경제자유구역(IFEZ) 공무원 및 투자기업 직원들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Outcomes of Free Economic Zone:Focusing on the Perceptions of Public Officials and Employees of Investing Companies in IFEZ
정태옥 ( Tea Ok Choung ) , 채원호 ( Won Ho Chai )
520 2015 22권3호 군사시설로 인한 갈등의 해결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Solution Factor for Conflicts Caused from Military Facilities
홍성운 ( Sung Woon Hong ) , 김찬환 ( Chan Huan Kim )
519 2015 22권3호 외국인 이주민에 대한 태도와 다문화정책의 추진방향 연구 -정책전문가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The Attitude on the Immigrants and the Policy Directions of the Multicultural Policy in Korea: A Survey Targeting Experts of the Policy
임동진 ( Dong Jin Lim )
518 2015 22권3호 정부신뢰와 과학기술에 의한 환경위험인식 -비교론적 분석-
Government Trust and Environmental Risk Perceptions by Science and Technology: Comparative Analysis
왕재선 ( Jae Sun Wang ) , 문병현 ( Byung Hyun Moon )
517 2015 22권3호 주민자치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operation Method between Residents’ Association and Local Community
김필두 ( Pil Doo Kim ) , 류영아 ( Young Aa Ryoo )
516 2015 22권3호 정보격차가 인터넷 참여활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네트워킹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The Empirical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Relations between Digital Divide and Internet Based Participation: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Networking
김이수 ( Lee Soo Kim )
515 2015 22권3호 지역사회 봉사활동의 유형과 노인 임파워먼트의 관계 -전문봉사와 일반봉사의 비교분석-
Relationship between Local Community Service Types and Empowerment of Senior Citizens:Comparative Analysis between Expert and General Services
곽미정 ( Mi Jung Kwak ) , 금상욱 ( Sang Wook Keum ) , 강문희 ( Moon Hee Kang )
514 2015 22권3호 지방자치단체장의 정치적 성향과 세출예산과의 연계성에 대한 연구 -서울시예산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cal Political Leaning and Expenditure Budget Focusing on the Budget for the Seoul City
윤광재 ( Kwang Jai Yun )
513 2015 22권3호 기능지역(functional area)개념을 활용한 지역고용 정책권역 설정에 관한 연구 -수도권 지역을 중심으로-
Alternative Approach to Defining Local Government`s Administrative Division for Employment Policy using Functional Area
김을식 ( Eul Sik Gim ) , 최석현 ( Seok Hyeon Choi ) , 조무상 ( Moo Sang Cho )
512 2015 22권3호 한국의 방사성폐기물 정책과 거버넌스
Nuclear Waste Disposal Policy and Governance in South Korea
임성진 ( Sung Jin Leem )
511 2015 22권3호 공중보건 증진을 위한 협력적 거버넌스와 도시정치론적 접근
Urban Politics, Collaborative Governance and Public Health
박상철 ( Sang Chul Park ) , 이건형 ( Keon Hyung Lee ) , 김경대 ( Kyung Dae Kim ) , 박정원 ( Jung Won Park )
510 2015 22권3호 한국 창업 및 벤처 분야 중소기업정책 네트워크의 발견 및 유형 규정
Prescribed and Detected Type of the Foundation and Venture sector Small-Medium Enterprises Policy Network in Korea
이재무 ( Jae Moo Lee ) , 김행열 ( Hang Yeol Kim ) , 전정환 ( Jung Hwan Jeon )
509 2015 22권3호 기아 자동차의 투자가 지역 경제 성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미국 조지아주 Troup 카운티를 중심으로
An Impact Analysis of Kia Motors Investment on the Regional Economic Growth -Focused on Troup County in Georgia-
박치형 ( Chi Hyoung Park ) , 원성수 ( Sung Soo Won )
508 2015 22권3호 사회복지전담공무원의 조직구조가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s of Public Social Workers on the Organizational Cultures Organizational Commitments
김계욱 ( Kye Uk Kim ) , 김용민 ( Yong Min Kim )
507 2015 22권3호 중앙부처 공무원의 직무몰입과 직무관여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Job Commitment and Job Involvement of Central Civil Service Employees
전만권 ( Man Gweon Jeon ) , 김종범 ( Chong Bum Kim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