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버넌스학회

새로운 시대의 거버넌스를 지향하며...한국거버넌스학회
한국거버넌스학회보: Print ISSN 1738-1274 / Online ISSN 2713-6701
간행물명 한국거버넌스학회 학회보
발행년도 2016년 (23권 1호) 수록페이지 127페이지 / 총 25페이지
국문제목 압축적 개발을 통한 도시재생에 대한 논쟁적 접근: 도시생활환경과 사회적 공평을 중심으로
영문제목 Critical Approaches to Urban Regeneration through Compact Development: Focusing on Urban Living Environment and Social Equity
저자 서준교 ( Joon Kyo Seo )
초록 도시의 외연적 확산은 도시규모를 외연적으로 팽창시키는 개발의 특징으로 인해 다양한 환경적 그리고 사회경제적 문제를 불려와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요인으로 지목받고 있다. 최근 도시의 외연적 확산으로 비롯된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개발방식으로 압축적 도시개발이 제시되고 있다. 압축적 도시개발의 핵심은 고밀의 혼합토지이용으로 자연녹지로의 개발억제를 통한 보존과 함께 대중교통 중심의 효율적인 도시교통시스템으로 다양한 도시기능 간 접근성 향상에 따른 사회 및 경제적 상호작용을 증진시키는 도시형태로의 개발을 통해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압축적 도시개발은 세계의 여러도시에서 도시재생을 위한 중심전략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압축적 도시개발의 핵심적 특징인 고밀의 혼합토지개발로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성취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한다. 특히, 압축적 개발을 통한 도시재생은 도시중심부에 집중된 재개발을 중심으로 함에 따라 도시생활환경이나 사회적 공평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즉, 도시중심부의 압축적 개발은 한정된 공간에 도시기능의 집중으로 도시의 혼잡성을 확대시킴으로써 도시의 전반적인 생활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여기에, 재개발의 도시중심부 집중은 부동산과 주택가격을 상승시켜 경제적으로 열악한 저소득계층의 진입을 어렵게 만드는 원인이 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도시중심부는 이러한 비용을 부담할수 있는 중상위 계층의 거주지로 탈바꿈하는 고급주택화로 이어지고 있다. 게다가, 도시중심부를 한정한 도시재생은 부도심 지역의 사회경제적 낙후를 더욱 심화시킴으로써 도시의 공간적 분리와 양극화에 따른 이원적 도시를 낳고 있다. 전체적으로, 압축적 개발의 도시재생은 도시의 지속가능성을 확보하는 지속가능한 개발로서의 한계를 갖고 있음을 지적한다. 본 연구는 압축적 도시개발의 유효성, 특히 압축적 개발의 도시재생에 따른 도시생활환경과 사회적 공평에 미칠 영향을 집중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문초록 The problems associated with urban sprawl have long been recognized. Particularly, as its major characteristics of unlimited outward extension of new development, it has evoked a variety of environmental and socioeconomic problems that have led to a threa
주요키워드 압축적 개발, 지속가능한 개발, 도시재생, 도시생활환경, 사회적 공평, compact development,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urban regeneration, urban living environment, social equity
다운로드
 
 

번호 년도 권호 제목 저자
636 2020 27권2호 규제개혁 이슈의 생존 주기 유형과 규제개혁 성과: 김대중 정부에서 박근혜 정부까지 박기묵・김성철
635 2020 27권2호 정부의 재난관리 효과성의 영향요인: 기술적・관리적・법제도적 요인을 중심으로 황창호
634 2020 27권2호 사회적경제 분야 여성근로자의 역할모호성과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인적자원개발의 매개효과 분석 김복태・이계만・박범준
633 2020 27권2호 지방정부 특별교통수단 도입의 영향요인 분석 손선화・유두호・엄영호
632 2020 27권2호 중간지원조직 활동가 직무수행역량 설정을 위한 델파이 연구 권지윤・김두순
631 2020 27권2호 감성리더십의 조절효과를 통한 감정노동과 직무소진의 관계 분석 우유하・박종선
630 2020 27권1호 인구분류 기준의 재구성을 위한 소고 김우석
629 2020 27권1호 정책결정과정으로서의 공론화 단계분석: ‘2018 서울시 지역균형발전 공론화 사례’ 하동현
628 2020 27권1호 외국인근로자 고용정책변동에 따른 사회통합정책대상으로의 포용 가능성 탐색: 단기순환원칙의 고용정책을 중심으로 정명주・김소윤
627 2020 27권1호 공공갈등 해소를 위한 제도화 과정 분석: 과천화훼단지 개발사례를 중심으로 김경아・문태훈
626 2020 27권1호 특수임무유공자 정책의 정책형성과정 연구: 정책네트워크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장다흰・박용성
625 2020 27권1호 노인의 삶의 질 결정요인에 관한 중·한 비교 연구 짱샨샨・권오상
624 2020 27권1호 공공기관의 채용비리 연루 억제 요인에 관한 연구: 내부통제와 투명성 강화를 중심으로 손성민
623 2020 27권1호 성과관리와 참여적 의사결정이 조직구성원의 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조직내부 신뢰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구주영
622 2019 26권3호 포용과 분권의 어울림: 프랑스와 네덜란드 사례의 비교 분석 김석태・이시철
621 2019 26권3호 여성정책의 유형에 따른 입법성과 차이에 관한 연구 추영민
620 2019 26권3호 지방정부 국제기구 가입의 영향요인 분석 신윤지・엄영호
619 2019 26권3호 주민자치회 활성화 영향요인의 분석 및 정책적 제언: 광주・전남 지방자치회를 중심으로 박상범・복문수
618 2019 26권3호 한국적 리더십이 공공부문의 생산적 조직에너지에 미치는 영향: 지방공무원의 대인관계요인을 중심으로 정석환
617 2019 26권2호 우리나라 국가표준 거버넌스의 혁신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수정된 네트워크 거버넌스 모델을 중심으로 이용규・천지은
1 2 3 4 5 6 7 8 9 10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