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버넌스학회

새로운 시대의 거버넌스를 지향하며...한국거버넌스학회
한국거버넌스학회보: Print ISSN 1738-1274 / Online ISSN 2713-6701
간행물명 한국거버넌스학회 학회보
발행년도 2014년 (21권 2호) 수록페이지 79페이지 / 총 23페이지
국문제목 연안정부간 새로운 월경협력과 파트너십의 형성 - 동남아시아 초국경 성장삼각지대의 사례 -
영문제목 A New Approach to Cross Border Cooperation and Partnership Among Local Governments: The Case of "SIJORI Growth Triangle" in Southeast Asia
저자 우양호 ( Yang Ho Woo ) , 김상구 ( Sang Goo Kim )
초록 오늘날 연안과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정부간 새로운 초국경 네트워크 및 월경협력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유럽과 아시아에서는 오래 전부터 국제적 협력과 소통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 동남아시아의 경우, 다소 복잡한 시대적 배경과 상황 하에서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하여 말레이시아 연안과 인도네시아의 섬 지역에 걸쳐 구축된 초국적 접경성장지대의 출현을 우리는 동남아시아의 새로운 월경지역 협력모델로서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동남아시아 연안의 접경지역에서 자연스럽게 나타난 소규모 협력 이니셔티브로서, 국가 최고지도자들의 정치적 제안과 수용을 통해 다소 소박하게 출발을 하였다. 그리고 싱가포르와 말레이시아의 조호르, 인도네시아의 리아우 사이에 형성된 접경된 성장삼각지대(Singapore-Johor-Riau Growth Triangle)가 가진 초기 목적은 각기 서로 다른 접경지역에 산재되어 있는 인구, 자원, 기술, 자본 등의 상호보완성을 이용·결합해 보기 위해 형성이 되었다. 그러나 이 사례는 해역과육역 간의 결절점으로 기능함으로써 갖게 되는 연안정부 및 해항도시의 본질적 네트워크성과 혼종성을 상징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바다와 연안이 단순한 국가 사이의 접촉지대, 경계지대가 아닌 새로운 역동성과 그것이 발현되는 기제를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동아시아의 해상관문인 싱가포르를 주축으로 한 초국적 접경지대의 형성사례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그 배경과 과정, 특성, 논리를 이해하는 동시에, 우리나라가 속한 동북아시아 연안과 월경네트워크의 향후 청사진에 대한 시사점까지도 생각해 보는 기회를 갖는다.
영문초록 The growth triangle is primarily an economic concept in Southeast Asia, although it is underpinned by strong political motivations. The model involves linking adjacent areas of separate countries with different endowments of factors of production - such a
주요키워드 월경협력, 파트너십, 성장삼각지대, 접경지역, 초국경 네트워크, 동남아시아, Cross Border Cooperation, Partnership, Growth Triangle, SIJORI, Indonesia-Malaysia-Singapore(IMS), Borders, cross border area, Southeast Asia
다운로드
 
 

번호 년도 권호 제목 저자
576 2017 24권3호 조직몰입과 직무만족 간 관계: 관료가 인식하는 조직특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조태준
575 2017 24권3호 원자력발전소 주변지역 지원사업의 원자력 신뢰도와 수용성 제고 가능성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인섭・이민창・왕재선
574 2017 24권3호 주민참여예산제도를 통한 지방정부의 숙의민주주의의 가능성 분석 배정아・엄인주
573 2017 24권2호 공공기관 인사관리 제도의 디커플링(decoupling) 현상과 원인 분석: 균형인사제도와 유연근무제를 중심으로 김정인
572 2017 24권2호 공적개발원조(ODA) 사업 자체평가에 대한 메타평가 연구 윤수재・조태준
571 2017 24권2호 쓰레기 불법투기 인식 유형과 넛지(nudge): 대구시 달서구 사례를 중심으로 박현주
570 2017 24권2호 일과 삶의 균형(WLB)지원제도가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분석: 지방공기업 사례를 중심으로 홍병윤
569 2017 24권2호 통합사례관리 수행과 성과에 대한 공공과 민간 부문 전문가의 인식 비교 문영주
568 2017 24권2호 공기업 CEO의 출신배경이 정책기여도 및 업무효율성에 미치는 영향: 정부권장정책 및 업무효율 점수를 중심으로 김병수
567 2017 24권2호 자기효능감이 직무만족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구: 공공조직의 성과급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전미선・전영준
566 2017 24권2호 ‘숙의 거버넌스’의 저해요인 연구: 한국의 사례들의 메타분석 권향원・김성민・한수정
565 2017 24권2호 영국의 자원봉사제도 변화(1998-2013)에 관한 연구: ‘협약’과 ‘큰사회’의 제도층화를 중심으로 송정안・이혜영
564 2017 24권1호 공공서비스의 정부간 거래 활성화 방안: 서울시의 우수정책 해외진출 사례를 중심으로 한인섭・곽명신・유연식
563 2017 24권1호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의 참여 특성과 효과 인식에 관한 연구 현다경
562 2017 24권1호 위계문화가 정보기술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세종시 이전 중앙행정기관을 중심으로 안선민・엄석진
561 2017 24권1호 표면적 다양성과 심층적 다양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자치구 팀을 중심으로 노종호
560 2017 24권1호 고령자의 일상적 스트레스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전략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항채・김동철・김정수・김대건
559 2017 24권1호 지역특성이 지방재정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기지역 기초자치단체들에 대한 퍼지셋분석을 중심으로 최예나・김상헌
558 2017 24권1호 ACF를 적용한 도청이전 입지선정과정의 분석: 전남도청이전 사례를 중심으로 이동기
557 2017 24권1호 지방정부 성과관리제도의 운영에 대한 시차적 평가 강윤호
1 2 3 4 5 6 7 8 9 10
TOP